자동차23 NOx 저감을 위한 SCR 시스템 개요 SCR 시스템에서 SCR은 우리말로 표현하면 선택적 환원 촉매를 의미한다.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에서 머리 글자를 따서 SCR로 표현한 것이다. 강화 EURO 6 배출가스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후처리 (Aftertreatment) 기술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후처리 기술에 대해서 잠깐 알아본다면, 엔진에서 배기 매니폴드를 통하여 후단(Down stream)으로 배기가스가 빠져나오면, 그 중에서 유해 인자들(HC, CO, NOx, PM 등)에 대해서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배기계(Exhaust system) 측에 붙이는 장치와 그와 관련된 제어 내용을 후처리 기술이라고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 이야기 할 SCR 시스템은 후처리 기술 중에서도 디젤 .. 2018. 12. 5. 자동차 신기술 #6 - 터보 차저 (Turbo Charger) Part 2 : 하이브리드 터보 차저 (Hybrid Turbo-charger) 앞선 글에서는 과급 장치의 종류와 터보 차저의 종류 (2단 차저 및 트윈 터보)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오늘은 터보 차저의 종류 그 연장선에서 또 다른 터보 차저를 이야기해볼까 한다. 터보 차저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거 같다면 도장 꾸욱~!!! * 과급 장치 관련글 2013/01/11 - [띠띠빵빵/자동차 신기술] - 자동차 신기술 #5 - 터보 차저 (Turbo Charger) Part 1 2013/01/06 - [띠띠빵빵/자동차 신기술] - 자동차 신기술 #4 - 공기 과급 장치 (터보차저&슈퍼차저)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과급 장치는 하이브리드 터보 차저 (Hybrid Turbo-charger)이다. 하이브리드라는 개념은 자동차에서 비롯되어 최근에는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쓰이는 .. 2013. 1. 13. 자동차 신기술 #5 - 터보 차저 (Turbo Charger) Part 1 지난 글에서 공기 공기 과급 장치에 전반적인 설명을 했고, 오늘은 그 중에서도 터보 차저(Turbo Charger)에 대해서 자세히 다뤄볼까 한다. 요즘 가솔린 엔진의 대세는 역시 T-GDI(Turbo-charged GDI) 엔진이기 때문에. * 자동차 신기술 이전글 2013/01/06 - [띠띠빵빵/자동차 신기술] - 자동차 신기술 #4 - 공기 과급 장치 (터보차저&슈퍼차저) 2012/12/20 - [띠띠빵빵/자동차 신기술] - 자동차 신기술 #3 - 가솔린 직분사 엔진 (GDI engine) Part 1 2012/12/12 - [띠띠빵빵/자동차 신기술] - 자동차 신기술 #2 - Camless Engine (Electro-Hydraulic Valve control) 2012/12/06 - [띠띠빵빵.. 2013. 1. 11. [이벤트] K시리즈를 맞춰라! It's K-TIME 이벤트 오늘은 기아자동차의 새로운 이벤트입니다. K-DIC에 이어 이번에도 K로 시작하는, K시리즈를 맞춰라! It's K-TIME 이벤트 아래는 기아자동차 홈페이지 이벤트 링크입니다. http://www.kia.com/kr/event/progress-view.aspx?idx=259&Page=1 이벤트 참여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벤트 참여하기를 클릭하면, 아래의 팝업창이 뜨게 됩니다.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고 약관 동의 체크한 후에 인증번호전송 클릭! 그리고 전송된 인증번호를 기입하고 확인 클릭! 그러면 아래 그림처럼 EVENT START~ 디자인이 스마트 키 버튼과 동일하네요. 클릭해서 이벤트 미션 시작 클릭과 동시에 짧은 동영상이 나옵니다. 동영상을 감상하시고 등장하는 자동차를 생각해둡니다. 미션하면서 .. 2013. 1. 10. 자동차 신기술 #4 - 공기 과급 장치 (터보차저&슈퍼차저) 자동차 업계의 치열한 기술 경쟁에 핵심은 자동차의 연비와 성능에 있다. 성능은 엔진 배기량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봤을 때, 동일한 성능을 낼 수 있는 배기량이 작은 엔진을 만들 수 있다면 연비와 성능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최근의 신기술 개발의 주류가 엔진 다운사이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 과급 장치(차저, Charter)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과급 장치의 종류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자동차 신기술 관련 이전 글 2012/12/20 - [띠띠빵빵/자동차 신기술] - 자동차 신기술 #3 - 가솔린 직분사 엔진 (GDI engine) Part 1 2012/12/12 - [띠띠빵빵/자동차 신기술] - 자동차 신기술 #2 - Camless Engine .. 2013. 1. 6. EMS 개발 - ⑦ Lambda control (연료량 제어) Part 2 이전에 EMS 개발 관련하여 Lambda control (연료량 제어)에 관해서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 관련글 2012/12/24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⑥ Lambda control (연료량 제어) Part 1 가솔린 엔진의 경우 이론공연비 14.7 :1 로 제어가 되는 것, 그리고 람다 (Lambda, λ)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만약 계산된 공기량 대비 이론공연비로 단순하게 연료량을 계산한다면 연료량 제어를 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하지만 몇 가지 운전 모드에서는 이론공연비(λ=1)로 제어가 아닌 좀 더 농후(Rich)하게 제어가 됩니다. 오늘 다룰 내용은 위의 운전 모드가 되겠습니다. 그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촉매 보호 (Catalyst protect.. 2012. 12. 2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