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띠빵빵/엔진제어11 SCR 시스템의 운전제한기능 (Inducement) 관련글 : 2018/12/03 - [띠띠빵빵/엔진시스템] - NOx 저감을 위한 SCR 시스템 개요 요소수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SCR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주기적으로 요소수를 보충해야 한다. 자동차에서 연료가 고갈되면 운행이 안 되듯이, 강화 EURO6 대응으로 최근 출시되는 경유차들은 요소수가 고갈되면 운행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경유차에서 요소수 투입구는 위 그림과 같이 주유구와 함께 있으며, 구별이 되도록 파란색 으로 되어 있다. 요소수가 고갈되어 차량 운행에 제재가 가해지는 것을 Inducement 라고 표현한다. 환경부 법규를 찾아보면 운전제한기능이란 용어로 표현이 되어 있는데, Inducement이란 용어는 운전제한기능과 요소수 레벨 경고 등의 2개의 기능적 의미를 포함한다. 환경부 법.. 2018. 12. 3. EMS 개발 - ⑧ 촉매 활성화 (Catalyst Light Off) 아래 시동 rpm 관련 글을 쓰면서 촉매 활성화 (Catalyst Light Off)에 대해서 알아본 적이 있으며, 시동 시 엔진 스피드(rpm)을 일정 기간 상승시켜서 촉매를 빨리 활성화시키는 제어에 대해서 언급을 하였다. 이번에는 촉매 활성화를 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관련 글 2010/10/04 - [띠띠빵빵/자동차 상식] - 왜 내차는 시동 걸면 rpm이 떠 있을까? 1) 엔진 시동 후 엔진 스피드(rpm) 상승 이러한 촉매 활성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한 가지가 냉간 시동 시 초기 설정 rpm (set-point rpm)을 1000 이상으로 올려놓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밍업이 충분히 되었을 때 설정 rpm은 700 내외가 보통이지만 .. 2013. 1. 20. EMS 개발 - ⑦ Lambda control (연료량 제어) Part 2 이전에 EMS 개발 관련하여 Lambda control (연료량 제어)에 관해서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 관련글 2012/12/24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⑥ Lambda control (연료량 제어) Part 1 가솔린 엔진의 경우 이론공연비 14.7 :1 로 제어가 되는 것, 그리고 람다 (Lambda, λ)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만약 계산된 공기량 대비 이론공연비로 단순하게 연료량을 계산한다면 연료량 제어를 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하지만 몇 가지 운전 모드에서는 이론공연비(λ=1)로 제어가 아닌 좀 더 농후(Rich)하게 제어가 됩니다. 오늘 다룰 내용은 위의 운전 모드가 되겠습니다. 그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촉매 보호 (Catalyst protect.. 2012. 12. 29. EMS 개발 - ⑥ Lambda control (연료량 제어) Part 1 엔진 제어 개발 관련 글을 참고하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자동차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면서! 2012/12/23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⑤ LPG 자동차 개발 2010/11/04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④ 자동차 OBD 개발 II 2010/10/31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③ 자동차 OBD 개발 I 2010/10/28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② 자동차 운전성 개발 2010/10/22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① 자동차 시동성 개발 오늘 다룰 EMS 개발 아이템은 가솔린 엔진의 연료량 제어에 관련된 내용으로써, 람다 제어 (Lambda control)라고 지칭되기도 합니다. 그러면 연.. 2012. 12. 24. EMS 개발 - ⑤ LPG 자동차 개발 정말 오랜 만에 엔진 제어 관련된 글을 포스팅 해보려 합니다. 긴 여행을 마치고 블로그에 복귀해서 엔진 제어 글을 쓰는 것은 처음이네요. 이번 포스팅 주제는 엔진 제어 개발 관점에서의 LPG 자동차 개발입니다. * 관련글 2010/11/04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④ 자동차 OBD 개발 II 2010/10/31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③ 자동차 OBD 개발 I 2010/10/28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② 자동차 운전성 개발 2010/10/22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① 자동차 시동성 개발 1. LPG 연료 특성 먼저 LPG 자동차의 연료로 사용되는 LPG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LPG는 Liquefied Petrol.. 2012. 12. 23. EMS 개발 - ④ 자동차 OBD 개발 II OBD 진단의 결과...Fail(실패)일 경우 왼쪽의 엔진 경고등이 뜬다. (OBD, On Board Diagnosics) 최근에 'OBD'를 검색으로 찾아주시는 분들이 많은 것을 보고, 자동차 엔진 제어 (EMS) 개발 중에서도 OBD 개발에 관하여 글을 썼습니다. OBD 개발이라는 주제로 글을 쓰고 난 후에 왠지 모를 뿌듯함이 있었는데, 오늘 또 새로운 과제가 나타났습니다. 유입 경로 중에 'OBD2 감시 항목'이 있어서 마음에 걸렸습니다. 이렇게 세세한 부분까지 검색하시는 분들이 계시는구나라는 생각이 들면서...그래서 OBD 개발의 좀 더 심화된 내용에 대하여 글을 써보겠습니다. *관련글* 2010/10/13 - [자동차/엔진제어] - 엔진 제어 개발 (EMS calibration) 2010/10/.. 2010. 11. 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