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띠빵빵/엔진제어11 EMS 개발 - ③ 자동차 OBD 개발 I 자동차 엔진 제어 (EMS) 개발에 관하여 살펴 보면서 자동차의 시동성 개발, 운전성 개발에 대하여 앞서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번 글에서는 Emission 개발이라는 주제로 쓸 예정이었으나, 'OBD 전자제어 개발' 이라는 검색으로 찾아오시는 분이 많은 것 같아서 먼저 OBD 개발에 관하여 글을 써볼까 합니다. 자동차 회사 면접 시즌이 시작된건지 모르겠지만... 이전의 자동차 경고등에 관련한 글에서도 언급을 하였는데, 자동차에 Key를 꽂고 Key-on 상태로 돌리면 위 그림과 같이 각종 계기등(램프)에 불이 들어옵니다. 어려운 말로 점등이라는 표현을 보통 쓰기도 합니다. 그리고 수초간 점등되어 있다가 차량에 이상이 없으면 모두 사라지고 1개의 계기등(램프)만 불이 들어온 채로 남습니다. 자세히.. 2010. 10. 31. EMS 개발 - ② 자동차 운전성 개발 실제 자동차를 운전하다보면 자동차를 통하여 몸으로 느껴지는 다양한 느낌이 있습니다. 보통 이러한 느낌 (Feel)은 정속보다 가속이나 감속의 변속 과정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운전 Feel 중에서 불쾌한 것들은 배제하고 좋은 것을 살려서 EMS 캘리브레이션/맵핑 데이터 (calibration mapping data)에 반영하는 것을 운전성 개발이라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MS 개발 항목 4가지 중에서 두번째로 언급한 운전생 개발에 대하여 이야기를 풀어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2010/10/13 - [자동차/엔진제어] - 엔진 제어 개발 (EMS calibration) 2010/10/19 - [자동차/엔진제어] - 엔진 제어 개발의 개발 항목들 2010/10/22 - [자동차/엔진.. 2010. 10. 28. EMS 개발 - ① 자동차 시동성 개발 앞서 포스팅에서 엔진 제어 개발의 항목들( 시동성, 운전성, 배출가스 규제, OBD)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2010/10/13 - [자동차/엔진제어] - 엔진 제어 개발 (EMS calibration) 2010/10/19 - [자동차/엔진제어] - 엔진 제어 개발의 개발 항목들 이번에는 그 첫번째 시동성 개발에 대하여 포스팅을 해볼 생각이다. 자동차 분야에서 일하기 전에는 운전석에 앉아서 키를 꽂고 돌리면, 시동이 걸리는 매커니즘이 너무나도 당연하게 생각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간단해 보이는 일련의 과정을 위하여 EMS (Engine Management System) 개발 엔지니어는 개발 기간 내내 시동을 걸고 또 시동을 건다. 시동이라는 것은 운전자가 운전에 앞서 정지되어 있는 엔진을 돌려주는 작업을 .. 2010. 10. 22. 엔진 제어 개발의 개발 항목들 엔진 제어 개발 (EMS calibration)은 손바닥 만한 ECM (Engine Control Module)에 집어 넣을 최적의 데이터를 만들어가는 일이라는 것을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를 하였다. 사진 자료는 인터넷에서 또 참고로 가져온 것으로 뉴 SM5의 ECM이라고 한다. Siemens 라고 쓰여진 것으로 봐서 2007년 이전에 제작된 듯 보인다. (Siemens 엔진 제어 개발 사업부문을 Continental 측에서 인수) 2010/10/13 - [자동차/상식] - 엔진 제어 개발 (EMS calibration) 엔진 제어 개발이 어떠한 일을 하는 것인지 이해를 하였지만, 세부적으로 무엇을 제어한다는 것인지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이번 글에는 엔진 제어 개발이 어떠한 항목들을 개발하는지에 대해.. 2010. 10. 19. 엔진 제어 개발 (EMS calibration) 자동차 후드를 열면 엔진룸이 한 눈에 보인다. 여러가지의 부품들 중에서 잘보면 배터리 근처에 손바닥 만한 모듈 하나가 와이어링 하네스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이것이 ECM (Engine Control Module) 혹은 ECU (Engine Control Unit)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예를 들기 위하여 인터넷을 찾아본 결과, 라세티 프리미어 엔진룸 사진이라고 올라와 있는 것이 있어서 가져왔다. 빨간 점선 안의 모듈이 ECM이며, 이것이 엔진 및 관련 파트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손바닥만한 컴퓨터 정도로 볼 수 있는데, 센서:Sensor (O2센서, MAF 센서, MAP센서 등 감지하는 파트)로 부터 받은 정보를 ECM이 분석하고 처리하고 그 후에, 액츄에이터:Actuator (.. 2010. 10. 1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