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띠빵빵30 EMS 개발 - ⑦ Lambda control (연료량 제어) Part 2 이전에 EMS 개발 관련하여 Lambda control (연료량 제어)에 관해서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 관련글 2012/12/24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⑥ Lambda control (연료량 제어) Part 1 가솔린 엔진의 경우 이론공연비 14.7 :1 로 제어가 되는 것, 그리고 람다 (Lambda, λ)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만약 계산된 공기량 대비 이론공연비로 단순하게 연료량을 계산한다면 연료량 제어를 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하지만 몇 가지 운전 모드에서는 이론공연비(λ=1)로 제어가 아닌 좀 더 농후(Rich)하게 제어가 됩니다. 오늘 다룰 내용은 위의 운전 모드가 되겠습니다. 그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촉매 보호 (Catalyst protect.. 2012. 12. 29. EMS 개발 - ⑥ Lambda control (연료량 제어) Part 1 엔진 제어 개발 관련 글을 참고하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자동차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면서! 2012/12/23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⑤ LPG 자동차 개발 2010/11/04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④ 자동차 OBD 개발 II 2010/10/31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③ 자동차 OBD 개발 I 2010/10/28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② 자동차 운전성 개발 2010/10/22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① 자동차 시동성 개발 오늘 다룰 EMS 개발 아이템은 가솔린 엔진의 연료량 제어에 관련된 내용으로써, 람다 제어 (Lambda control)라고 지칭되기도 합니다. 그러면 연.. 2012. 12. 24. EMS 개발 - ⑤ LPG 자동차 개발 정말 오랜 만에 엔진 제어 관련된 글을 포스팅 해보려 합니다. 긴 여행을 마치고 블로그에 복귀해서 엔진 제어 글을 쓰는 것은 처음이네요. 이번 포스팅 주제는 엔진 제어 개발 관점에서의 LPG 자동차 개발입니다. * 관련글 2010/11/04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④ 자동차 OBD 개발 II 2010/10/31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③ 자동차 OBD 개발 I 2010/10/28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② 자동차 운전성 개발 2010/10/22 - [띠띠빵빵/엔진제어] - EMS 개발 - ① 자동차 시동성 개발 1. LPG 연료 특성 먼저 LPG 자동차의 연료로 사용되는 LPG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LPG는 Liquefied Petrol.. 2012. 12. 23. 자동차 신기술 #3 - 가솔린 직분사 엔진 (GDI engine) Part 1 가솔린 직분사 엔진 (GDI engine)은 세상에 나온지 꽤 오래된 기술이다. 하지만 상용화 되는 데는 시일이 걸렸고, 어느 새 가솔린 자동차에는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기술이 되었다. GDI는 Gasoline Direct Injeciton의 약어로써 우리나라와 일본 메이커에서 두루 쓰이는 표현이며, 벤츠에서는는 CGI (Charged Gasoline Injection), GM에서는 SIDI (Spark Ignition Direct Injection), 아우디에서는 FSI (Fuel Stratified Injection)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직분사 엔진은 아래 그림처럼 실린더 내에 인젝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실린더 내부에서 연료를 분사하고 점화 플러그에 의해 폭발시키는 매커니즘으로 작동.. 2012. 12. 20. 자동차 신기술 #2 - Camless Engine (Electro-Hydraulic Valve control) 이번 포스팅에서 살펴볼 자동차 신기술은 Camless engine, 즉 캠이 없는 엔진에 관련된 내용으로써, FIAT에서 Multi-air technology로 지칭된 Electro-Hydraulic Valve control에 대해서 정리를 해볼까 한다. 2012/12/06 - [띠띠빵빵/자동차 신기술] - 자동차 신기술 #1 - Dual Injection 일반적인 엔진에서는 기계적으로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나 체인에 의해 캠샤프트가 구동이 되고, 그 캠샤프트와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캠의 프로파일(단면 형상)에 의해서 밸브가 상하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물리적인 체결에 의하여 캠 프로파일에 따라 밸브의 타이밍(Liming)과 리프트(Lift)는 정해져 있다. 여기서 한 단계 발전한 것.. 2012. 12. 12. 자동차 신기술 #1 - Dual Injection 자동차에서 신기술이란 아디이어 컨셉 수준에서 어떻게 실제로 구현할 것인가의 선행 기술이 있고, 양산까지는 되었지만 많은 메이커들 모두 양산 적용하지는 않은 기술 수준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앞으로 자동차 신기술에 관해서 하나의 아이템씩 글을 적어볼 계획이다. 오늘 포스팅을 하게될 Dual injection (듀얼 분사) 기술은 이미 양산까지는 적용된 기술이지만, 많은 이들에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다. 현재 양산되는 엔진은 펌핑 로스(Pumping loss)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흡기, 배기 각각 2개의 밸브가 있는 DOHC가 기본이 되었으며 요즘 엔진은 흡기 포트 쪽 흡기 밸브가 2개가 있고 인젝터가 1개가 장착되어 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Dual Injection은 인젝터 1개가 아닌.. 2012. 12. 6. 이전 1 2 3 4 5 다음